STAMPING FRAME BIKE
고장력 강판 (DP590)을 이용한 전기 자전거 프레임, 모터와 배터리 장착을 위한 구조가 반영되었고 무게와 사용성을 고려해 견고하게디자인된 지오메트리가 특징이다.
자전거산업은 수백 가지의 부품을 필요로 하는 조립형 산업이다. 주요 부품들의 원천 기술은 일본, 유럽 및 대만이 보유하고 있어, 고가 자전거 시장은 이들이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고, 저가 부품시장은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의 저임금 노동력을 통한 생산업체가 차지하고 있다.
자전거 주요 부품 중에서 특히 프레임은 자전거 브랜드를 대표하는 디자인과 기술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부품이다. 프레임의 품질은 가장 중요한 요소임에도 금속프레임의 경우에는 작업자의 용접 숙련도에 따라 그 수준이 결정되고, 복합소재 프레임의 경우에도 작업자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달라진다. 이러한 인력중심의 산업구조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국내 산업 인프라를 이용하는 프레스 대량생산기술을 통해 국내 자전거 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수출을 통해 산업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기존 자전거프레임의 튜빙 방식이 아닌 좌우 양쪽 형상을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하고 로봇으로 용접함으로써, 대량 생산을 구현할 뿐 아니라 EN 규격을 만족하는 균일한 품질을 확보 할 수 있다. 더불어 자전거의 중요한 속성인 디자인에 있어 자유도와 정교함을 확보함으로써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강철 대비 가볍고 충돌 흡수능이 우수한 고장력강 (DP강, Dual Phase Steel)을 사용하므로, 프레임 강성 및 무게 측면에서도 기존 카본 또는 알루미늄 프레임과 비교하여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품질을 확보 할 수 있다.
금형제작 전단계에서 디자인 품질 및 설계데이터 검증을 위해 LIPS (Light Induced Planar Solidification, 광조형 면경화) 기술이 세계최초로 적용된 모피어스 (Morpheus) 3D 프린터를 활용 하였다. 이는 기존의 FDM 방식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재료의 가격이 낮으며, 출력속도가 빨라 생산성이 높다. 특히 LCD 스크린, 자외선 LED, 자외선에 반응하는 광경화성 액상수지를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의 확장성이 넓으며, 본시제품 제작에는 레진 (Resin) 소재가 활용 되었다.
고장력 강판 (DP590)을 이용한 생활 자전거 프레임, 여성들도 쉽게 오르내릴 수 있도록 탑튜브가 낮게 디자인되었고, 헤드튜브에서 시트튜브, 체인스테이까지 이어지는 부드러운 조형이 특징이다.
출처: PMRC 홍익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