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o™ 140 SLS 3D 프린터는 강력하고 단단한 최종 용도 부품의 기능성 시제품을 다양한 소재로 빠르게 제작합니다. sPro SLS 3D 프린터 시스템은 공통 아키텍처를 공유하므로 내구성이 뛰어난 고해상도 열가소성 수지 부품을 중형에서 대형 제작 부피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트 내구성과 표면 품질은 업계 최고의 제품 조합을 자랑하는 sPro™ 140 SLS 3D 프린터로 우수한 해상도와 표면 마감의 기능적 열가소성수지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SLS 3D 프린팅 기술은 가장 견고한 응용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산업 등급용 기술입니다. 산업디자인 파트 부터 자동차 부품, 항공우주 및 의료용 자재까지 어느 사업에서든 시간을 절약하고 파트의 우수한 품질을 유지하며 전통적인 ABS 방식의 디자인 경제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됩니다.
sPro™ 140
중대형 빌드 사이즈와 업계 최고 품질의 SLS 3D 프린터

고정밀도 SLS 3D 프린터.
내구성이 뛰어나고 정확한 고해상도의 열가소성 수지 부품을 중형에서 대형 제작 부피로 생산합니다.





DuraForm® 재료.
고품질의 DuraForm® 라인을 소개합니다

고해상도.
고퀄리티.
SLS 프린팅 애플리케이션
전세계 자동차 공장, 디자인 혁신 센터 등 다양한 산업의 리더들은 이미 SLS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앞서 나아가고 있습니다.

3D 프린터는 우리가 만드는 거의 모든 것의 제조 방법을 혁신할 것이다.
바락 오바마
미국 44대 대통령

우주탐사용 로켓에 3D프린팅 기기를 이용해 … 시험 발사를 진행했는데 앞으로 이 같은 작업을 생산 과정에 적용해 비용을 절감하고 시간은 단축할 수 있다.
데니스 뮬런버그
보잉 글로벌 회장

적층 제조법은 G.E.가 디지털 산업 회사로 발전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부분이다.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 겸 CEO
기타 활용 사례
제품 갤러리
제품 스펙
sPro ™ 140 Base | sPro ™ 140 HS | |
조형 영역 (x, y, z) | 550 × 550 × 460mm | 550 × 550 × 460mm |
분말 레이아웃 | 정밀 카운터 회전 롤러 | 정밀 카운터 회전 롤러 |
적층 피치 (일반) | 최소 80 미크론 / 150 미크론 (100 미크론) | 최소 80 미크론 / 150 미크론 (100 미크론) |
이미징 시스템 | ProScan ™ 표준 디지털 | ProScan ™ GX 듀얼 모드 고속 디지털 |
이미징 시스템 | 이미징 시스템 | |
스캔 속도 | 10m / s | 15m / s |
레이저 파워 / 유형 | 70W / CO 2 | 200W / CO 2 |
볼륨 빌드 속도 | 3.0L / hr | 5.0L / hr |
본체 크기 (폭 × 깊이 × 높이) | 1840 × 1850 × 2340mm | 1840 × 1850 × 2340mm |
본체 무게 | 약 1,400kg | 약 1,400kg |
전원 요구 사항 | 208V / 17kVA, 50 / 60Hz AC 50 / 60Hz, 3 상 (시스템) | 208V / 17kVA, 50 / 60Hz AC 50 / 60Hz, 3 상 (시스템) |
표준 기능 시스템 제어 및 부품 준비 소프트웨어 : 즉시 부품을 추가 / 삭제하는 유연한 기능을 탑재 한 LS4.4 Sinter / BuildSetUp 소프트웨어, 높은 정밀도 및 일관성있는 부품을 제공하는 SinterScan 모듈 및 Build Time Estimator.
[기타 옵션] RemoteNotify ™ 소프트웨어 모듈 : 빌드 높이, 부품 완성, 알람 등 기계의 상태가 변경 될 때 자동으로 이메일 전송. RealMonitor & Graphic Viewer : 고급 소프트웨어. 빌드중인 레이저, 히터 및 센서 데이터를 기록 데이터베이스로 내보낼 통계적 공정 제어를 가능하게합니다.
재료 특성
수지 이름 | 색상 (경화 후) | 특징 |
DuraForm ® PA | 백색 | 충격 |
DuraForm ® GF | 회색 | 강성 |
DuraForm ® EX | 흰색, 검정 | PP 계열 |
DuraForm ® FLEX | 백색 | 고무 같은 |
DuraForm ® HST | 백색 | 내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