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활용사례

업계 소식

반도체 혁신, 마이크로칩 생산 개발 시간 가속화와 성능 향상

반도체 혁신, 마이크로칩 생산 개발 시간 가속화와 성능 향상

레지 푸텐베틸

EVP, 첨가제 솔루션 및 최고 상업 책임자(CCO)

reji-circle-1.png


"AM이 부품 통합을 용이하게 하고, 개발 속도를 높이며, 디자인 유연성을 제공하는 능력 때문에, 전통적인 기술로는 불가능한 디자인을 제작하는 AM의 능력으로 인해 형태와 기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소비자 제품 디자인이 증가하는 추세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믿습니다."
적층 제조(AM)는 이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제조 워크플로우를 혁신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석유와 가스뿐만 아니라 주조 및 항공우주 분야에서도 계속해서 발전을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2024년에 접어들면서 AM이 반도체와 내구성이 뛰어난 소비재라는 두 산업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점점 더 복잡해지는 마이크로칩 생산의 정확성, 속도, 신뢰성 및 생산성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 리소그래피 및 웨이퍼 처리 장비는 끊임없는 혁신을 필요로 합니다. 또한 품질 향상, 총 소유 비용 향상, 시장 출시 시간 단축 및 공급망 중단 최소화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AM은 10년 이상 반도체 자본 장비 산업에서 이점을 입증해왔고 지난 몇 년 동안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그래서 이 산업에서 적층이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기술이 탄력을 받고 있고 저는 두 가지 주요 분야에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합니다:

개발 시간 가속화: 제조 복잡성과 계획 주기가 줄어들면 혁신을 위한 시장 출시 시간이 단축될 것입니다. 저는 이것이 특히 하이엔드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와 고성능 프로세서와 같은 초고밀도 기능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에게 분명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것이 주조 공장 수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부족 현상을 종식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성능 향상: AM을 통해 보다 성능이 뛰어나고 정밀한 차세대 반도체 자본 장비가 가능해짐에 따라 이를 통해 높은 전력 소비와 정밀한 냉각이 요구되는 새로운 공정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적층 제조된 방열판과 냉각 시스템이 기존 방식으로 제조된 것보다 평방 인치당 더 많은 냉각 효율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다시 열 성능 장벽을 제거하여 하드웨어 제조업체가 더 많은 컴퓨팅 밀도를 동일한 공간에 포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혁신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제가 성장이 기대되는 또 다른 분야는 소비재입니다. AM은 이미 존재하지만, 첨가제는 더 이른 과정에서 형태와 기능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고 봅니다.

상세보기

반도체, 항공우주, 의료기기, 치과 등의 발전

반도체, 항공우주, 의료기기, 치과 등의 발전

제프리 그레이브스 박사

사장 겸 대표이사


업계소식1.PNG

"업계 전반에 걸쳐 생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M 통합은 공급망 중단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계속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3년 한 해 동안 우리는 산업 및 의료 시장 모두에서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적층 제조(AM)의 사용에서 상당한 발전을 계속해 왔습니다.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적이었지만 2024년에는 반도체, 내구성 소비재, 항공우주 및 방위, 의료기기, 치과 등에서 AM이 더 큰 모멘텀을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합니다.


산업 전반에 걸쳐 생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M의 통합은 공급망 붕괴를 완화하는 데 중요한 진전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업계를 선도하는 제조업체들은 AM을 통해 현지에서 제조함으로써 공급망을 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계속해서 깨닫고 있습니다. 이는 공급업체의 수를 줄이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물류 공급업체가 지역 간에 부품을 이동할 필요를 제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또한 제조업체의 탄소 발자국을 최소화함으로써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급망을 통제하려는 추세는 의료, 특히 진료 현장에서 의료기기 생산에서 매우 강력한 견인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선도적인 공급자들은 임플란트와 수술 도구와 같은 개인화된 장치를 생산하기 위해 병원과 수술 센터에 수용된 적층 제조 솔루션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내년을 지나면서 외과의사와 공급자들이 환자 치료와 환자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치를 생산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의료 기관에서 AM을 채택하는 것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또한 디바이스의 개인화를 가능하게 하는 AM의 능력이 치과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미 치과용 디지털 솔루션은 의치, 치아 교정, 임플란트 등을 생산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금형 제작을 위한 간접 생산을 통해 AM이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서 디바이스의 직접 생산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환자 맞춤형 디바이스 제작뿐만 아니라 대량 맞춤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적층 제조의 능력은 맞춤형 수술 가이드와 임플란트부터 틀니, 치아 교정 기구에 이르기까지 모든 분야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방법으로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반도체 업계는 헬스케어에서 산업용으로 전환하면서 팬데믹으로 인한 칩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AM이 10년 넘게 반도체 자본(Semicap) 장비의 장점을 입증했지만, 내년에는 출시 시기를 앞당기고 성능이 향상된 부품 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는 기존 방식으로는 달성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한 부품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첨가제 덕분에 가능할 것입니다.

상세보기

한국기술·3D시스템즈, 펠릿 압출 3D프린터 ‘EXT Titan’ 국내 첫 런칭세미나 성황리 성료

한국기술·3D시스템즈, 펠릿 압출 3D프린터 ‘EXT Titan’ 국내 첫 런칭세미나 성황리 성료

한국기술·3D시스템즈, 펠릿 압출 3D프린터 ‘EXT Titan’ 국내 첫 런칭

- 생산성 10배·재료비 1/10, 금형·지그·패턴 등 대형 산업용 부품 최적

 

(사진1)Titan세미나.jpg

▲ ‘EXT Titan’ 런칭 세미나 참석자들이 한국기술에 설치된 ‘EXT Titan’를 보고 설명을 듣고 있다.

 

재료 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한 3D시스템즈의 산업용 고속·대형 펠릿압출 3D프린터가 국내에 처음으로 구축돼 항공우주, 국방,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3D시스템즈와 국내 파트너사인 ㈜한국기술(대표 송종하)은 지난 25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안양에 위치한 한국기술 본사에서 펠릿압출 3D프린터 ‘EXT Titan’ 런칭 세미나를 3회에 걸쳐 진행했다. 이번 세미나에는 정원웅 3D시스템즈코리아 대표, 송종하 한국기술 대표 산학연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다. 


세미나는 △EXT Titan 기술소개 △활용사례 △3D시스템즈가 2024년 공개 예정인 6개의 3D프린터 △펠릿 압출 시연 및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EXT Titan의 구동 모습과 실제로 제작된 부품을 보면서 적층제조 기술의 변화와 새롭고 다양한 적용사례를 공유했다.

 

한국기술이 국내 최초로 도입한 3D시스템즈의 펠릿압출 3D프린터 ‘EXT Titan’은 최대 1270x1270x1829mm(가로x세로x높이)에 달하는 대형 조형물을 최대 30,000mm/min 인쇄 속도로 출력할 수 있어 기존대비 10배 빠른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존 압출형 3D프린터에서 사용되는 필라멘트 형태 소재가 아닌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저렴한 펠릿을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 비용을 1/10로 줄일 수 있다. 사용 소재도 일반 ABS, PLA 등 소재에서부터 탄소섬유, 유리섬유, 미네랄 같은 고기능 소재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 목적에 따라 펠렛 압출, 필라멘트 압출, 스핀들 등 3개의 툴헤드를 하이브리드로 구성해 효과적으로 조형물을 적층할 수 있다.


이에 ‘EXT Titan’은 항공우주 국방, 자동차등 연구기관 및 산업체에서 패턴, 금형, 공구 세공, 지그, 고정장치, 최종 사용 제품 및 전체 규모 원형제작을 포함한 대형 기능성 부품을 생산하는 용도로 생산성을 입증 받았다.


한국기술은 ‘EXT Titan’ 구축을 시작으로 국내에 장비 판매와 서비스 공급에 본격 나설 예정이다.


송종하 한국기술 대표는 환영사를 통해 “3D프린팅 시장에서 고객들이 점점 대형 장비와 고속 장비를 요구함에 따라 국내 최초로 펠릿 3D프린터를 도입하게 됐다”며 “제작 원가의 획기적 가격 절감으로 고객의 생산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정원웅 3D시스템즈코리아 대표는 환영사에서 “생산원가 절감을 요구하는 고객 니즈에 부응하기 위해 개발된 ‘EXT Titan’이 한국에 처음 선보이게 돼 기쁘다”며 “고객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선진 3D프린팅 솔루션 제공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3D프린팅 종합 솔루션 기업 한국기술은 미국 3D시스템즈의 3D프린터 장비, 판매, 유지 보수,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 1997년부터 국내 600여 개 기업과 교육기관에 산업용 3D프린터를 공급한 바 있다.


‘EXT Titan’을 포함한 금속 3D프린터 등 다양한 솔루션에 대한 궁금한 사항은 전화(031-478-4950) 또는 메일(sales@ktech21.com)로 문의하면 된다.

 

 

Titan 세미나 한구기술 2.jpg

▲ 송종하 한국기술 대표가 세미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Titan 세미나 한국기술 1.jpg

▲ EXT Titan은 대형 부품을 빠르고 생산성 높게 적층할 수 있다.

 

관련기사 : 신소재경제신문 http://amenews.kr/news/view.php?idx=56399

헬로T :  한국기술 “펠릿 압축 ‘EXT 타이탄’, 3D 프린팅 비전 제시"

상세보기

(주)한국기술, 리셀러 세미나 2023에서 3D Systems 본사 CEO로부터 최고 리셀러상 수상

(주)한국기술, 리셀러 세미나 2023에서 3D Systems 본사 CEO로부터 최고 리셀러상 수상

한국기술이 2022년 아시아 리셀러상에 이어 2023년에도 Formnext에서 2년연속 에서 3D Systems 아시아 리셀러상(2023 APAC Best Reseller of the Year)을 수상하는 영광을 안았습니다.


 

  

KakaoTalk_20231107_084112210_02.jpg

 

안녕하세요,

산업용 3D프린터 전문기업 한국기술입니다.


이번 해 새롭게 2023년 11월, 독일 프랑크투르트에서 열린 리셀러 세미나 식장에서 3D Systems 본사 CEO로부터 2023 아시아 최고 리셀러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는 2015년 3D Systems APAC 베스트 파트너상, 2021년 '전자 IT의 날' 송종하 대표의 대통령 표창 수상, 2022년 APAC 아시아 최고 리셀러상 이후 4번째 상 입니다. 

 

KakaoTalk_20231107_084112210.jpg

 

한국기술은 최초로 3D프린터를 개발한 미국 3D Systems사와 손을 맞잡고 대우자동차 (현 GM 자동차), 기아 자동차, 현대 자동차를 포함한 600여 개 기업에 3D프린터를 공급해 한국의 제일가는 회사로 성장하였으며 뿐만 아니라, 항공, 전자, 의료, 소비재 등 많은 산업군에서 저렴하고 빠르게 기업의 경쟁력을 새롭게 하는데 한 발 앞장 서고 있습니다.


한국기술은 고객분들과 미래를 함께 일구어 나아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한국기술은 실질적인 3D 프린팅과 관련된 인프라와 컨설팅, 네트워크, 컨텐츠를 다양하게 제공하는데 노력하겠으며 고객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겠습니다. 


고객 여러분의 따뜻한 관심과 성원에 감사를 표합니다.

 

KakaoTalk_20231107_084112210_01.jpg

상세보기

경북대 첨단기술원, ㈜한국기술 금속 3D프린터(DMP) 기술을 활용...의료기기에 3D프린트 기술 적용해 과기부 장관상 수상

경북대 첨단기술원, ㈜한국기술 금속 3D프린터(DMP) 기술을 활용...의료기기에 3D프린트 기술 적용해 과기부 장관상 수상

“의료기기에 3D프린팅 적용” 경북대 첨단기술원, 과기정통부 장관상 수상

한국기술 금속 3D프린터 기술 활용 

 

 


사진1 정면샷 다른거.jpg

▲ 홍진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트워크 정책실장(왼쪽), 김현덕 경북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오른쪽)


경북대학교 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 의료융합기술센터는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진행된 “2023년 3D프린팅 활용 우수사례 경진대회”시상식에서 “양산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3D프린팅 척추케이지의 다층 적층 공정 기술”을 개발하여 중소 의료기업을 지원하고 3D프린팅 의료기기 상용화를 성공적으로 이끈 공로를 우수하게 평가받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경북대학교 첨단정보통신융합산업기술원 의료융합기술센터(이하 경북대 첨단기술원 의료센터)에서는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하여 인체삽입형 의료기기 양산에 성공하였다.


경북대 첨단기술원 의료센터는 정부 기관 지원을 받아 의료기기를 제조할 수 있는 금속 3D프린터 8대를 구축하였고 식약처 GMP, 제조업허가, ISO13485, 45001, FDA(510k) 허가 등 관련 인증 취득을 통해 국내 15개사와 제조위탁 계약을 체결하였다.

㈜한국기술은 경북대 첨단기술원 의료센터에 3D시스템즈사의‘DMP(Direct Metal Printing) Flex 350’ 4대를 공급하였고, 이 장비는 최대 275x275x380mm 크기의 부품을 생산할 수 있는 대형 금속 3D프린터로 500W에 달하는 고출력 레이저가 탑재돼 높은 생산성을 자랑한다.


경북대 첨단기술원 의료센터는 DMP Flex 350 장비를 활용하여 다공성 구조가 적용된 정형외과용 임플란트 제품인 “추간체유합보형재”를 양산하고 있으며, 최근 국내 최초로 시도한 다층 적층 구조 공정 연구를 통해 단 8일 만에 한 장비로 1,300개 이상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공정 기술을 개발하였다.

 

사진2. 금속 3D프린터 효율성분석.jpg

 ▲ 금속 3D프린터(DMP Flex 350) 「다층 적층 구조 생산 효율성 분석」

 

 

이러한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연 100,000만개 이상의 3D프린팅 의료기기를 양산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 하였으며, 현재 중소 의료기업 제품을 연 30,000개 이상 지원·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으로부터 우수 연구기반센터 표창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한국기술은 3D프린팅 종합 솔루션 공급기업으로 국내 3D프린터 장비와 서비스 공급을 이끄는 기업이다. 세계 최대 3D프린팅 기업인 미국 3D Systems(3D시스템즈)사의 3D프린터 장비, 판매, 유지 보수, 종합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특히 1997년부터 국내 600여개 기업과 교육기관에 산업용 3D프린터를 공급하고 있다.


경북대 첨단기술원 김현덕 원장(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은 “의료기기 시장은 정형외과, 치과 등 3D프린팅 기술이 빠르게 적용되어 양산 및 상용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 제작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한 개선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경북대 첨단기술원과 ㈜한국기술은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의 선두주자로서 국내 3D프린팅 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3. 최우수상 상장 사본.png

  ▲ 과학기술정보통신장관 사장 사본 」


상세보기